알고 입자/하의

알고입자/ 치노팬츠의 유래, 역사

서초동샐러리맨 2020. 2. 24. 17:53

정장 바지보다는 편하고 청바지보다는 클래식한 매력을 가지고 있는 치노 팬츠는 남성 기본 아이템으로서 활용도가 정말 높다.

편안하고 캐주얼한 옷차림부터 프레피룩, 비즈니스캐주얼까지 활용될 수 있으니 범용성으로만 따지자면 단연 1위다. 나도 옷장에만 있는 치노 팬츠 수를 헤아려보면 대략 5~6벌 정도는 되는 것 같다.

 

현대에는 수요에 맞춰 다양한 핏으로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데 ,본래 치노팬츠는 군복에서 유래했고 군인들의 활동성을 고려해 펑퍼짐한 실루엣이었다.

 

누구나 한벌쯤은 소유하고 있는 치노팬츠. 이 치노팬츠를 누가, 왜 만들었는지 역사와 유래에 대해 알아보자.

 

 

 

1. 치노팬츠(chino pants)란?

  • 치노팬츠의 사전적 의미는 '염색한 능직(twill weave , 綾織) 면바지' 인데, 치노팬츠를 설명하기 전에  '치노(chino)'의 어원을 먼저 살펴보면 스페인어로 '중국'이란 뜻이다. 기원전 3세기의 통일국 진(秦)을 뜻하는 '친(Ch`in)'에서 왔다. 여기서 좀 더 어원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라틴어의 '사이노(Sino)', 산스크리스트어의 '시내(Sinae)'도 만날 수 있다. 
  • 이처럼 어원이 중국과 연관되었다는 의견이 강세인데, 이것이 중국인 재단사 때문인지 아니면 중국에서 생산된 원단을 사용하여 이러한 이름이 나왔는지는 분명치 않다. 분명한 것은 현대적 의미의 치노는 19세기 중반 영국군과 미국군을 중심으로 군복 하의로 제작되던 것이 민수용으로 흘러들어서 현재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 따라서 치노팬츠는 능직으로 짠 면을 주로 쓰기 때문에 원단의 조직점이 사선으로 난 것이 특징이다. 수직으로 짠 면을 쓰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사선 조직점이 나기는 하지만 이것은 상대적으로 덜 두드러진다.
  • 그래서인지 지금도 '오리지널 치노팬츠'하면 당시 영국이나 미국군 제식복의 색상이었던 카키(Khaki) 또는 베이지(Beige)색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제법 많다.

 

현대의 치노팬츠 (출처: www.brooksbrothers..com)

 

 

2. 그럼 능직(twill weave)은 뭘까?

  • 직물을 짜는 대표적인 방법 세 가지로 평직(平織), 능직(綾織), 수자직(繡子織)이 있다. 평직은 씨줄과 날줄을 한 줄씩 교차시켜 짜는 것이다. 능직은 씨줄과 날줄을 두 줄 이상 교차시켜 가며 짠다. 수자직은 씨줄과 날줄을 네 줄 이상 교차시켜 짜는 것이다.
  • 그중 능직으로 짠 직물은 튼튼한 평직과 부드러운 수자직의 장점을 골고루 갖췄다. 외형적 특징은 비스듬한 사선 문양이 보이는 것이다. 그래서 사문직(斜紋織)이라고도 부르는데 아래의 그림, 사진을 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평직, 능직, 수자직의 기본 형태 (출처: 두산대백과)

 

 

 

능직의 이미지. 오른쪽처럼 두 줄 이상 넘어서 씨줄과 날줄이 교차하기 때문에 직물의 무늬가 사선을 이룬다. (출처: Wikipidia)

 

 

 

능직 직물의 확대도 (출처: Pinterest)

 

 

3. 치노팬츠(chino pants)의 탄생

  • 1차세계대전 당시 스페인 전쟁에서 승리한 미군이 필리핀에 주둔했는데 그 당시 중국에서 생산되던 면의 능직원단을 사용하여 미군복을 만든 것이 치노팬츠의 유래이다.
  • 필리핀에 상륙한 미 육군을 힘들게 했던 것 중 하나는 고온다습한 날씨였는데, 필리핀 여름철 온도는 33도고 우기는 연중 7개월에 달했다. 미 육군은 필리핀 환경에 적합한 장비와 물자를 보급하기로 했는데, 그중 하나가 면 직물로 만든 통 큰 작업복이다.
  • 미 육군은 작업복을 제작하기 위해 중국에서 면직물을 대량 매입했다. 중국산 면직물로 만든 새 작업복은 능직으로 짠 것이어서 통기성이 좋고 땀 흡수가 잘되었고, 편하고 부드럽고 신축성까지 있었다. 이 시제품을 입어본 장병의 반응은 기대이상이었다.
  • 미 육군은 당시 막 유행하기 시작하던 카키색(Khaki)으로 작업복을 염색하여 필리핀에 주둔한 미군 전 장병에게 보급했다.

 

 

1917년에 미 육군에 보급된 치노팬츠의 실물 (출처: ebay)

 

 

4. 치노팬츠(chino pants)의 대중화

  • 전쟁에 참가했던 군인들은 귀국 후 학교에 복학하게되고, 이들이 입었던 치노팬츠는 미국 내 대학 캠퍼스에서 자연스럽게 확산된다.
  • 치노 팬츠는 1950년대 미국 대학생들에게 유행한 새로운 형태의 '프레피 룩' 의 상징이 되었다. 보통 스포츠 재킷, 흰 셔츠, 그리고 보트슈즈와 함께 착용했다.
  • 이런 확산이 일반시민들에게까지 뻗어나가게 되고, 정, 재계에서도 치노팬츠를 입으면서 현재에 이르는 치노팬츠가 탄생되었다.
  • 치노팬츠는 제임스 딘과 스티브 맥퀸 같은 할리우드 스타들에 의해 유행이 급속도로 퍼지면서 미국 스타일의 상징이 되었는데, 미국 디자이너 '타미 힐피거(Tommy Hilfiger)''랄프 로렌(Ralph Lauren)'이 주축이 되었다. 

 

치노팬츠를 활용한 미국 대학생들의 프레피룩 (출처: Google)

 

 

치노팬츠를 착용한 제임스 딘 (출처: Google)

 

 

5. 번외) 치노팬츠(chino pants)의 전신인 카키(Khakis)

  • 카키(Khaki)는 여러가지 뜻을 가지고있다.
  • 첫째로 '먼지'를 뜻하는 힌두어로, 탁한 녹색이나 황갈색을 의미하는 색상의 명칭으로 쓰였다.
  • 둘째는 , 모, 리넨 등을 사용하여 능직으로 짠 카키색의 을 말한다.
  • 셋째는 카키색 천으로 만든 바지를 가리키는 단어이기도 한데, 색깔은 khaki, 바지는 'khakis'로 끝에 복수형 's'가 붙어있기 때문에 구분이 쉽다.
  • 치노의 전신인 '카키(Khakis)'는 1848년에 영국 중위 해리 럼슨 경이 개발했는데, 그는 인도의 주둔 중이던 영국 군대의 붉은색 군복을 눈에 잘 띄지 않는 짙은 노란 색 또는 갈색으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  그는 군복 천의 염색을 위해 커피, 카레, 뽕나무를 섞었고 '카키(Khaki)'라고 불리는 새로운 색을 만들었다. 지금은 치노와 혼용하여 쓰고 있지만, 카키 색은 해리 럼슨 경이 만든 염료를 가리킨다.
  • 이러한 '카키 색(Khaki)'제품은 실제적인 위장술의 생존율 장점을 깨닫게 되면서, 전투복 또는 군복에 신속하게 채택되었다.

 

카키 색 군복 (출처: Google)

 

6. 번외)치노팬츠(chino pants)와 카키(Khakis)의 차이

  • 카키(Khakis)치노팬츠(chino pants)는 종종 서로 혼용되는 용어이다.  스테이플러 같은 특정한 품목을 식별하기 위해 우리가 종종 브랜드(호치키스) 이름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 치노 팬츠는 가벼운 면 또는 혼합 직물로 만들어지고 바느질이 눈에 띄게 되어있기 때문에 깔끔하고, 간편하게 입을 수 있다.
  • 반면에 카키색 바지, 즉 카키(Khakis)는 무게가 더 나가는 면 직물로 만들어지고 바느질은 눈에 잘 띄지않는다.